꼼수에서 정공법으로 전환…LGU+, 80MHz 업로드 우위 강조 성공할까
통신이야기
2015/02/26 06:00

<관련기사: SKT, LGU+에 쓴소리…이종봉 부문장 ‘LTE 업로드, 표준화 안돼 마케팅 불과’>
<관련기사: 3배 빠른 LTE 시대, 정말?…속도경쟁, LGU+ ‘꼴등’>
LTE는 주파수가 늘어나면 속도가 빨라진다. 통신3사는 1개 광대역LTE 주파수(40MHz 또는 35MHz)와 2개 일반LTE 주파수(20MHz*2)를 확보하고 있다. 이를 전부 합친 것이 얼마 전 세계 최초 논란으로 홍역을 치른 4배 빠른 LTE다. 광대역LTE 주파수는 SK텔레콤과 KT는 1.8GHz를 LG유플러스는 2.6GHz를 쓴다. SK텔레콤과 KT는 보조망과 주력망으로 해당 주파수를 이용해왔지만 LG유플러스는 아무것도 없었다. 보완이나 추가하는 쪽과 새로 까는 쪽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LG유플러스는 이 차이를 마케팅으로 메웠다. 하지만 올해 들어 변화가 생겼다. LG유플러스의 광대역LTE 기지국 구축이 궤도에 올랐다.
상황은 변했다. 같은 투자 같은 운용 능력이라면 주파수는 넓고 가입자는 적은 LG유플러스가 유리하다. 특히 업로드는 그렇다. 아직 LTE 업로드는 주파수묶음기술(CA,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상용화 되지 못했다. 전적으로 1개 주파수 중 폭이 넓은 쪽이 유리하다. SK텔레콤과 KT는 광대역LTE 주파수 업로드 부분 5MHz가 이가 빠져있다. 즉 광대역LTE지만 업로드는 10MHz가 최대 이용 가능 주파수다. LG유플러스는 다르다. 20MHz를 온전히 쓸 수 있다. 주파수 2배는 속도도 2배다.

<관련기사: LGU+, 1대多 LTE생방송 개시…업로드 우위, 본격 활용>
LG유플러스는 이 서비스를 개인(B2C)서비스로 검증했다. LG유플러스 스마트폰으로 찍은 동영상을 LG유플러스 인터넷TV(IPTV)로 보내는 형태다. B2B도 이 기반이다. 1대1에서 1대다(多)로 늘린 것이 다르다.

개인 서비스는 아직 업로드 속도가 좌우하는 킬러 콘텐츠가 없다. 이번 상품처럼 실시간 연결이 가장 업로드를 돋보일 수 있는 형태인데 눈길을 끄는 OTT(Over The Top) 서비스가 없다. 콘텐츠 공유는 스마트폰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고 게임이나 동영상 시청은 업로드와 무관하다. 데이터 사용량도 부담이다. 무선랜(WiFi, 와이파이)를 쓰면 그만이다.

TAG 80MHz,
B2B,
B2C,
KT,
LGU+,
LG유플러스,
LTE,
LTE생방송,
SKT,
SK텔레콤,
개인,
광대역,
기업,
꼼수,
다운로드,
디지털데일리,
딜라이트닷넷,
업로드,
정공법,
통신